핫 경제 뉴스

이재명의 빚탕감 정책, 정말 세금으로 하는 걸까?

제니122 2025. 7. 8. 15:34
반응형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5천만 원 이하, 7년 이상 장기 연체된 채무를 탕감해주겠다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성실히 갚은 사람은 뭐냐', '세금으로 대신 갚아주는 거 아니냐'는 국민의 우려도 적지 않죠.

"이재명의 빚 탕감, 구조가 다르다!"
"이재명의 빚 탕감, 구조가 다르다!"

1. 이 정책은 어떤 구조로 빚을 탕감할까?

이번 정책은 단순히 세금으로 빚을 없애주는 것이 아닙니다. 정부는 ‘채무조정 기구(배드뱅크)’를 통해 다음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 금융기관이 가진 오래된 연체 채권을 기구가 매입
  • 상환 능력 평가 후, 전액 탕감 또는 부분 감면 + 분할상환
  • 탕감된 채권은 소각 처리

 

2. 그럼 재원은 어디서 나오나?

총 예산은 약 8천억 원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정부 예산 4천억 원 (추경 또는 기금)
  • 금융사 출연 4천억 원 (은행이 공동 부담)

즉, 국민이 직접 내는 세금을 바로 사용해 탕감하는 구조가 아니라, 공공기금과 금융권 협력으로 조성된 구조입니다.

3. 도덕적 해이? 형평성 논란은?

전문가들은 이 정책이 ‘조건을 엄격하게 제한해야 실효성 있다’고 강조합니다.

  • 중위소득 60% 이하, 재산 없는 경우 등 선별 기준 적용
  • 성실 상환자에게도 일부 혜택 제공

단순히 '빚만 지면 탕감해준다'는 식이 아니며, 오히려 신용 회복과 재도전 기회 제공이 목적입니다.

 

4. 새출발기금 트랙은 무엇?

소상공인 연체자 10만 명을 위해 ‘새출발기금’도 확대됩니다:

  • 순채무 90% 감면
  • 최대 20년 분할상환

5. 결론: 이건 세금 퍼주기가 아니다

요약하자면, 이재명 정부의 탕감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 + 금융사 공동 재원으로 채권 매입
  • 공공기구 운영을 통한 체계적 구조조정
  • 세금 직접 투입은 아님

다만, 국민 감정과 형평성을 고려한 투명한 대상 선정 및 절차 공개가 앞으로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