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와 점술: 우리의 마음이 점술에 끌리는 이유 미국에서 공부하던 시절, 한적한 대학 도시로 이사했을 때 느꼈던 기묘한 풍경이 있었다. 최첨단 학문이 이루어지는 대학가에 점집과 타로집이 유독 많았던 것이다. 학문과 점술의 조화롭지 않은 공존은 흥미로운 질문을 던진다. 요즘 우리나라 대학가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주카페와 타로 가게, 운명철학원이 흔한 풍경이 됐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점술에 마음을 빼앗기는 걸까? 점술과 인간 심리: '포러 효과'와 '가용성 편향'현대 심리학은 초자연적인 현상을 과학적으로 다루지 않지만, 점술이 작동하는 심리적 기제를 설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포러 효과와 가용성 편향이 있다. 포러 효과란? 포러 효과는 모호하고 일반적인 성격 묘사를 특정 개인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