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 경제 뉴스

2025년 달라지는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제니122 2025. 6. 25. 10:31
반응형

2025년부터 적용되는 세제 개편안에는 출산, 육아, 결혼, 창업, 주택, 기부금 등 다양한 혜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인, 가정,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감면제도를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세요!

 

2025년 달라지는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2025년 달라지는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1. 출산 및 육아 세금 감면

① 출산·육아 급여 전액 비과세

  • 자녀 출생 후 2년 이내 받은 출산·육아 관련 급여전액 비과세

② 6세 이하 자녀 보육급여 비과세 유지

  • 월 최대 2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 지속

2. 자녀 및 결혼 세액공제

① 자녀 세액공제 확대

  • 1명: 25만 원, 2명: 55만 원, 3명 이상: 95만 원으로 공제 금액 상향

② 결혼 세액공제 신설

  • 혼인 신고 시 1회당 50만 원 세액공제
  • 부부 공동 신고 시 최대 100만 원 공제

 

3. 창업 및 벤처기업 세제 지원

① 창업 중소기업 세금 감면

  • 법인세·소득세 감면 3년 연장
  • 고용 증가 시 감면율 최대 100%까지 확대

② 스톡옵션 행사 소득 비과세

  • 벤처기업 스톡옵션 행사이익 연 최대 2억 원까지 비과세

4. 연구개발(R&D) 및 투자 공제 강화

  • 신성장·원천기술 R&D 공제율 최대 35%로 확대
  • 통합투자세액공제율도 평균 2~5%p 상향 조정

5. 주택 및 월세 세제 혜택

  • 주택청약저축 공제 대상: 세대주 외에도 배우자 포함
  • 산후조리원 비용 공제 시 소득 기준 폐지
  • 영유아 의료비: 기존 공제한도 폐지 → 전액 공제 가능

 

6. 신용카드 소비 공제 유지

  • 신용카드: 15% / 체크·현금영수증: 30% / 전통시장·대중교통: 40%
  • 총급여의 일정 비율 초과 사용분에 대해 연간 최대 300만 원 공제

7. 고향사랑 기부금 공제 확대

  • 세액공제 한도 기존 500만 원 → 2,000만 원으로 대폭 상향

8. 기부금 영수증 전자화 의무화

  • 일정 규모 이상의 단체는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 필수
  • 연말정산 시 자동으로 자료 반영 가능

9. 기타 달라지는 점

  • 2025년 최저임금: 시급 10,030원, 월 2,096,270원 (주 40시간 기준)
  • 납세조합 세액공제율: 5% → 3%로 인하 (2027년까지 유지)
  • 반려동물 진단·치료용 혈액: 부가세 면세 적용

📌 마무리

2025년 세제 개편은 가계 부담 경감과 창업·육아 지원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특히 자녀와 결혼 관련 세액공제, 기부금 확대, 창업·벤처 감면 제도는 꼭 챙겨야 할 항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정부24 또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세금도 전략입니다. 연말정산·사업자 신고 전에 꼭 준비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