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은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초강도 규제책이 특징입니다.
수도권과 규제지역을 중심으로 대출 한도를 낮추고, 갭투자를 차단하며,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조치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 상한 도입
- 수도권·규제지역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 최대 **6억원** 한도 도입 (6월 28일부터 적용)
- 생애최초 주담대 LTV 80% → **70%**로 강화, 전입 의무 6개월 부과
2. 다주택자·갭투자 대출 원천 차단
- 2주택 이상 보유자 또는 1주택 보유 후 추가 주택 구입 시 **LTV 0%** 적용, 주담대 금지
-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 갭투자 자금 활용 차단
- 전세대출 보증비율 90% → **80%**로 축소(수도권·규제지역)
- 주담대 대출 만기 수도권·규제지역 30년 이내로 제한
-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한 생활안정자금 → 최대 **1억원**으로 한정하며, 다주택자 생활자금 대출 금지
3. 정책서민대출(디딤돌·버팀목) 한도 축소
- 디딤돌 대출(일반): 2.5억 → **2억**, 생애최초·청년: 3억 → 2.4억, 신혼: 4억 → 3.2억, 신생아: 5억 → 4억
- 버팀목 전세대출 한도도 동등 수준으로 축소
4. 전체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화
- 전 금융권(정책대출 제외)의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하반기 기준 **기존의 50% 수준**으로 축소
- 은 행권 자율관리 조치를 전 금융권으로 확대 적용
5.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전입 의무 추가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시 **6개월 내 전입 의무** 부과
6. 이행 방식 및 예외 규정
- 28일부터 즉시 시행되는 조치와 7월 이후 시행될 조치로 구분
- 대출 신청 완료자, 계약자에 대해서는 **경과규정**을 마련하여 손실 최소화
- 금융당국·관계기관이 중앙합동 점검 및 이행 모니터링 강화
7. 발표 직후 나타난 혼선
– 금융위원회 긴급회의에서 발표된 정책이었으나, 대통령실은 “금융위 대책일 뿐 대통령실 대책이 아니다”라며 선을 긋는 입장을 밝혀 당·정 간 **소통 부재 논란**이 발생
8. 평가 및 쟁점
✅ 장점
- 갭투자 억제 및 서민·실수요자 중심의 대출 구조 전환 기대
- 주택시장의 투기적 과열 억제 가능성
⚠️ 우려
- 기존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 수준보다 강력한 초강도 규제
- 서울 아파트 평균 12–13억 기준, 최소 현금 6–7억 필요하여 실수요자 어려움 예상
- 대선 공약 “세금 없는 집값 안정”과 배치된 철저한 대출 억제 위주 정책
결론적으로, 이재명 정부는 6월 28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전반에 걸쳐 초강력 ‘수요 억제’ 규제 대책을 즉시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통령실과 금융위 간 사전 조율 부족이 부각되며, 정책 일관성 측면에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핫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는 뛰는데, 왜 삼성전자는 멈췄을까?” (0) | 2025.07.02 |
---|---|
“왜 우리는 더 이상 부동산으로 돈을 벌 수 없게 해야 하는가?” (0) | 2025.07.02 |
2025년 달라지는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0) | 2025.06.25 |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정부 혜택 총정리 (0) | 2025.06.25 |
📈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앞으로 어떻게 될까?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