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당뇨병 환자 증가 추세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30대 젊은 층에서 당뇨병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6년에는 인구 1000명당 1.3명이었던 발생률이 2015년에는 1.7명으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당뇨병 발생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인 당뇨병 발생률은 2006년 1000명당 7.7명에서 2015년 6.3명으로 줄었지만, 젊은 층에서는 오히려 증가한 것입니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대 6만9000명, 30대 17만9000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젊은 층에서 당뇨병이 증가한 이유
젊은 층에서 당뇨병이 증가한 가장 큰 원인은 '비만'입니다. 20~30대 당뇨병 환자 중 비만이었던 비율이 2006년 51.4%에서 2015년 72.4%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2단계 비만(체질량지수 30~34.9)의 비율이 11.2%에서 20.4%로, 3단계 비만(35 이상)의 비율이 0%에서 10.2%로 급증했습니다. 스트레스, 신체 활동 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 선호 등이 비만을 유발하고, 결국 당뇨병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젊은 당뇨병, 위험할까?
매우 위험합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발생한 후 20년이 지나면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40대에 당뇨병이 발병하면 60대에 합병증이 생기는 반면, 20대에 발병하면 40대에 이미 심각한 당뇨 합병증(시력 저하, 투석, 당뇨발 절단 등)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젊은 당뇨병 환자는 합병증 진행 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입니다. 20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주요 장기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조기 사망 위험도 높아집니다.
혈당 관리는 필수
하지만 젊은 사람들에게 혈당 관리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사회활동이 많고 식사 제한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철저한 관리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극적인 체중 감량과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희망은 있다! 당뇨병 완화 가능성
다행히도 젊은 환자들은 당뇨병 '관해(완화)'에 이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당뇨병 진단 후 체중의 5~10%를 감량하면, 약을 쓰지 않아도 될 정도로 혈당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즉, 한 번의 기회가 더 있는 것입니다. 당뇨병이 생기기 전으로 완전히 돌아갈 수는 없지만,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발병 초기부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젊은 당뇨를 막기 위해 해야 할 일
'20~30대에는 당뇨병이 생기지 않는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20~30대도 당뇨병에 걸릴 수 있으며, 생활습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비만하거나 불규칙한 생활을 하는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도 신경 써야 합니다. 소아 비만은 성인이 되었을 때 당뇨병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아이들의 체중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자녀의 퍼스널 트레이너가 되어 건강한 성장을 유도해야 합니다.
젊은 당뇨병 환자가 꼭 기억해야 할 것
- 당뇨병의 원인은 다양하고 복합적이지만, 핵심은 규칙성과 지속성입니다.
-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일정한 시간에 식사하세요.
- 규칙적인 운동: 일주일에 최소 3~5회 이상 꾸준히 운동하세요.
- 규칙적인 수면: 충분한 수면을 취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유지하세요.
이러한 규칙적인 생활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면, 당뇨병 극복도 가능합니다.
젊은 당뇨병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혈당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세상의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기부전 치료제, 효과를 극대화하는 복용 방법 (0) | 2025.03.17 |
---|---|
달걀, 베이킹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0) | 2025.03.16 |
유산균과 젖산, 자궁경부암 예방에 도움 (0) | 2025.03.16 |
기혼 남성의 비만 위험, 미혼 남성보다 3배 높다 (0) | 2025.03.15 |
폐경기 증상과 치매 위험의 연관성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