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울증이 급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청소년 우울증의 증가율이 놀라울 정도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회 의원 김원이씨의 발표에 따르면 6-11세 우울증 진료 인원은 2018년 1849명에서 2022년 3541명으로 91.5%나 증가하였습니다. 15~17세 연령대에서도 57.6%, 12~14세에서는 57.1%의 증가율을 보입니다. 이에 따라 자살률 또한 상승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우울증은 방치하면 학업 부진, 등교 거부, 게임 중독, 식사 및 수면 장애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청소년 우울증의 초기 증상은 사춘기와 유사하여 부모들이 쉽게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김재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