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궁금증

GLP-1 친화 식품, 새로운 변화의 물결

제니122 2025. 1. 7. 11:01
반응형

 

GLP-1 친화 식품, 새로운 변화의 물결

최근 세계적인 식품기업인 콘아그라 브랜즈가 'GLP-1 친화 식품' 라벨을 붙인 제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라벨은 GLP-1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한 것으로, 미국 농무부(USDA)도 이를 승인했다. 과연 왜 식품까지 비만 치료제 사용자 맞춤형으로 출시되는 것일까?

그 배경과 더불어 글로벌 식품 산업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자.

 

GLP-1 친화 식품, 새로운 변화의 물결

 

 

 

GLP-1 친화 식품이란?

GLP-1은 체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낮추고 위장관 운동 속도를 늦춰 포만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비만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GLP-1 비만 치료제는 이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고지방 식품에 대한 욕구를 줄인다.

하지만,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면 근육량 감소와 소화 불량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GLP-1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식품은 고단백질, 저열량, 고식이섬유가 특징인 제품이다. 콘아그라 브랜즈는 자사의 '헬시 초이스' 라인에 이러한 특성을 강조한 ‘온 트랙(On Track)’ 라벨을 부착하여, GLP-1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을 타겟으로 한 식품을 출시했다.

사실, 이 식품에 큰 변화가 있지는 않다. 고단백질, 저열량, 고식이섬유 제품에 라벨만 추가된 것이다.

 

 

 

 

다른 대규모 기업들도 동참

콘아그라 브랜즈의 사례만큼이나, 다른 글로벌 식품 기업들도 GLP-1 비만 치료제 사용자들을 위한 식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예를 들어, 세계 1위 식품 기업인 네슬레는 2023년 9월, GLP-1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을 위해 특별히 개발한 브랜드인 **'바이탈 퍼슈트'**를 출시했다. 또한, 미국의 애벗 래버러토리는 고단백 셰이크를 출시하며 이 시장에 진출했다.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

GLP-1 비만 치료제는 2023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비만 환자가 많은 미국에서 이용자가 급증하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 패턴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고열량 식품의 수요는 감소하고, 저열량과 고단백 식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인 월마트는 2023년 10월,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의 소비 패턴 변화를 감지한 후, 이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치료제 복용자의 구매율이 복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두 배 이상 낮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아이스크림이나 햄버거와 같은 고열량 음식은 구매율이 크게 줄어든 반면, 고단백, 저열량 식품은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한다.

 

 

 

 

비만 치료제 열풍,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

GLP-1 비만 치료제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투자 은행인 모건 스탠리는 2035년까지 GLP-1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2400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최근 유자투자증권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는 GLP-1 제제가 상위 10개 의약품에 포함될 것으로 예측되며, 그 인기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상황은?

현재 한국에서는 GLP-1 비만 치료제 사용자만을 겨냥한 식품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 내에서 비만 치료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특정 소비자층을 위한 케어푸드 시장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케어푸드 시장 규모는 약 32조 원에 달하지만, 한국 시장은 약 2조 원대로 추정된다.

 

 

 

 

결론

GLP-1 비만 치료제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겨냥한 맞춤형 식품의 수요도 늘어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 대기업들이 앞다퉈 GLP-1 친화 식품을 출시하며, 식품 업계의 트렌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 이와 같은 변화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며, 비만 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